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직무연수과정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은 소수의 학생만을 위한 “엘리트주의” 및 “사교육을 조장”하는 교육이라는 비난에서 벗어나 영재의 잠재력을 계발하고 사회와 국가 발전에 이바지 하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을 발굴, 육성하는 교육적 투자로 시각을 전환할 때이다. 즉, 우리나라 영재교육은 영재교육의 당위성 논의에서 한 단계 나아가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영재교육을 전개할 지 그 과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영재교육 관련 법령을 제정하고,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영재교육 기관을 선정하는 등 외형적인 하드웨어 구축에 노력해 왔다. 그러나 외형적인 하드웨어 구축에 기울인 노력에 비해 영재교육을 질적으로 향상하는 내부적인 소프트웨어 구축에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영재교육의 양적 및 질적인 효율성과 효과성을 증진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그간 진행해온 영재교육담당교사 연수체계를 재고한 후, 영재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는 혁신적인 방안을 모색하도록 노력을 해야 한다.
본 사업은 우선 경북교육청과 대구대학교 중심의 mentorship 체계를 마련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mentorship 체계를 활용함으로써, 영재교사의 R & E 역량을 강화함은 물론, 영재의 독립조사 연구에 대한 교육적 요구를 충족하는 이월효과(Splash Effect)까지 가져오게 된다. 이를 위해서 경북교육청과 대구대학교의 mentorship 체계는 영재교사와 대학교수진의 R & E 멘토 관계를 형성하여, 그간 교육청 위주에서 실시하였던 영재교사직무연수의 한계점을 보완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