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직무연수과정
1. 연수의 목적
일선학교에서 실질적으로 미래세대 교육을 담당하게 될 교사들의 다문화 역량(multicultural competence)은 학교 다문화교육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학교에서 사회적, 문화적 다양성을 함께 학습하고 논의하며,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기 위한 학생들의 의미있는 변화를 수반할 수 있는 집단으로서 교사의 다문화적 능력은 그 핵심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한, 학생들에게 불평등, 불의, 인종주의, 편견을 인지하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과 일상생활에서의 편견적이고 차별적인 메커니즘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바꿀 수 있는 능력과 관심을 갖도록 교육하는 것은 교사의 인식변화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방법론적인 훈련 없이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수는 교사들의 다문화 역량강화을 기초로 현장에서 다양한 배경을 지닌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있어 필요한 기술과 지식, 수업에서의 적용 등 실제사례로 구성하여 다문화 시대의 교사 역량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2. 연수 프로그램 구성의 주요 방향성
다문화 교사 교육은 개인적인 역량강화를 넘어 학교현장에서 다문화 교육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실시하고 학교환경을 만들어 나가면서 학생들을 지도할 것인가에 대한 전문적인 가이드 혹은 체계적인 조직자로서의 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주요한 방향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교사교육과정에서 제공되어야할 다문화 학습기회로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4가지를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1) 예비교사 자신의 문화적 배경과 특성에 대한 이해
2) 다양한 문화집단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드러내고 이를 통한 자신의 고정관념과 편견 성찰
3) 다양한 문화에 대한 지식의 습득과 상이한 문화 집단의 다양한 관점 갖기
4) 교실에서 모든 학생들에게 공평한 학업 성취의 기회가 제공될 수 있는 교육적 전략에 대한 학습
교사교육에서 제공되어야할 학습기회를 염두에 두고 본 다문화교사연수프로그램의 방향성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가. 교사들의 ‘다문화 감수성 향상’과, 교과과정과 연계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자료의 이론과 실제’ 로 구성하여
교사들의 다문화 교육역량을 향상시키고 학교 현장 적용가능성이 높은 프로그램으로 구성
나. 이론과 실제가 적절히 배합된 커리큘럼으로 구성하여 연수의 효과성과 의미성을 높임
다. 연수 후 강의평가를 실시하여 향후 프로그램 내용구성 개선에 반영
※ 본 연수는 대구대학교 중등교육연수원과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가 공동 주관하여 개최됩니다.